본문영역

with IBK
피플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에피소드 원작자 조우성 변호사
사람을 중심에 두고
타인의 전체를 보다

오랜 시간 변호사로서 자신의 소임에 성심을 다해 온 조우성 변호사.
누구에게나 있는 명암을 옳고 그름으로 분리하기보다는 ‘명(明)’을 긍정하되 ‘암(暗)’을 변론하는 그의 태도에서 우리는 삶의 철학을 배운다.
*<with IBK> 8월호의 모든 촬영은 코로나19 방역 수칙을 준수하여 진행했습니다.

writing. 임산하 photograph. 김범기

변호사라는 운명의 옷을 입다

사람은 모두 흐름 속에 존재한다. 우리는 어제에서 이어지는 오늘이라는 시간을 선회하며 살아간다. 그래서 우리의 삶은 ‘모’와 ‘도’로 가를 수 없으며, 그 누구에게도 타인의 삶을 부분으로 나누어서 볼 권리는 없다. 하지만 우리는 한다. 그것도 매우 쉽게. 조각은 단순하지만 전체는 복잡하고, 깨뜨리는 것은 쉽지만 이어 붙이는 것은 품이 드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조우성 변호사는 기꺼이 그 일을 해낸다. 모두가 싸늘한 눈초리를 보낼 때 타인의 파편을 조심조심 모으는 사람이 바로 그다.
조우성 변호사는 인기리에 방영 중인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이하 <우영우>) 에피소드의 원작 에세이집 <한 개의 기쁨이 천 개의 슬픔을 이긴다>를 통해 변호사로서 소중한 진심을 전한 바 있다. “나는 많은 의뢰인들과 함께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삶의 본질에 대해 고민했고, 그 끝에 한 가지 의문을 품게 되었다. 격한 인생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있는 이들이 감정의 극점에 외롭게 서 있을 때, 그들의 삶에 공감해 주는 단 한 사람을 만나느냐 그러지 못하느냐에 따라 그들 인생의 명암이 달라지는 것을 수없이 목격했다.”라고. 그런데 처음부터 그가 변호사를 꿈꿨던 것은 아니다. 그에게는 검사에 대한 동경이 있었고, 마음의 방향이 바뀐 건 사법시험에 합격한 후 검사시보 생활을 시작했을 때다. 조우성 변호사에게 피의자는 단순히 범죄자가 아니었다.
“피의자의 딱한 사정을 듣고 있으면 마음이 흔들려서 선처를 해야겠다는 생각으로 피의자신문조서를 작성했어요. 그런데 당시 지도 검사님은 저의 조서를 보고 변호인이 작성한 변론요지서 같다고 말씀하셨죠. 저는 그 사람의 사정과 죄를 완강하게 분리할 수가 없었어요.”
그렇게 본인에게 꼭 맞는 ‘운명의 옷’을 입고 변호사 생활을 시작하게 된 그는 25년 동안 수많은 의뢰인을 만나며 진심을 쏟았다. 상대의 말을 ‘변명(辨明)’이 아닌 ‘사정(事情)’으로 이해할 때, 우리는 비로소 그 사람이 겪은 삶의 역사 속으로 한 걸음 더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조우성 변호사의 깊이는 여기에서 시작된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통해 전해진 진심

우리가 살아가는 데 법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다. 조우성 변호사가 <한 개의 기쁨이 천 개의 슬픔을 이긴다>를 출간한 까닭도 이 때문이다. 그는 독자들이 법에 익숙해지길 바랐다. 바람이 통한 것일까, 그의 에세이 속 이야기가 <우영우>의 에피소드로 소개되면서 비로소 많은 이들에게 가닿았다.
<우영우>의 4화 ‘삼형제의 난’은 그가 겪은 사건을 각색한 것이다. 간략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삼형제 중 셋째는 시골에서 부모님을 모시면서 농사를 지어 왔고 선친이 작고하자 논 5천 평을 받게 된다. 매년 생산되는 쌀의 20%는 두 형에게 보내 주는 조건이었다. 그런데 20년 후 그 땅이 개발지역으로 묶이면서 보상금이 100억 원가량 책정되자 두 형은 셋째에게 각서를 내민다. 보상금을 첫째 50%, 둘째 35%, 셋째 15%로 나눠 갖는 것과 분배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세공과금을 셋째가 부담한다는 내용이었다. 셋째의 아들이 조우성 변호사를 찾아왔을 때는 이미 각서에 서명을 하고 도장을 찍은 뒤였다. 그의 에세이를 읽으면 당시 그가 느꼈던 당혹스러움이 전해진다. “변호사로서는 이미 의뢰인이 서명 날인한 문서를 무효화시켜 달라는 요구를 할 때가 가장 난감”하다는 그의 말은 <우영우>에도 똑같이 등장한다. 그렇지만 대안을 찾기 위해 노력한 조우성 변호사는 결국 묘안을 생각해 낸다. 두 형이 셋째에게 폭행을 가하면 증여계약을 해제할 수 있어 셋째가 “몇 대 맞으면” 되는 것이다. 결국 이 방법을 통해 증여계약은 무효화된다. “결과적으로 희한한 방법으로 상황을 유리하게 만든 것이죠. 그런데 더 놀라운 일은 다음에 벌어졌습니다. 삼형제는 보상금과 제세공과금 모두를 3분의 1로 나누는 합의서를 작성했고, 셋째가 이에 동의한 것입니다. 그 마음에 감격했던 기억이 납니다.”
흔히 ‘드라마보다 더 드라마 같은 일들’은 우리 주변에 많이 일어난다. 매순간 의뢰인의 자리에서 골몰하는 그의 이야기는 이 외에도 <우영우>의 11화, 13화, 14화를 통해 소개될 예정이다.

온라인으로 쉽게 법률 지식을
접하고 소송에 대한 도움을
얻을 수 있는 ‘머스트노우’ 플랫폼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단지 법을 모른다는 이유로
억울해지는 이가 없도록
힘을 보태는 것이
제 인생 후반기의 목표입니다.
자신의 경험을 사람을 위해 쏟다

언제나 사람을 보는 조우성 변호사. 그가 오랜 시간 변호사 생활을 하면서 단단히 쌓은 철학이 있다면 그것은 ‘분쟁의 중심에 사람이 있다’는 것이다.
“저는 후배 변호사들에게도 분쟁을 분쟁 자체로만 보지 않도록 조언합니다. 언제나 ‘사람’을 빼고는 이해할 수 없습니다. 변호사에게는 사람을 폭넓게 바라보고 이해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는 제가 인문학 공부에 집중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긴 시간 동안 그가 깨달은 또 하나는, 승패는 하나의 결과일 뿐 결코 목적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형제간의 소송에서 형을 대리한 적이 있습니다. 2년의 치열한 공방 끝에 승소했지만, 제 의뢰인은 감정의 소용돌이 속에서 결국 암을 선고받고 말았습니다. 당시 큰 충격을 받았지요. 무조건 승소를 이끌어 내는 것이 변호사의 참모습은 아니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승소가 반드시 의뢰인의 행복을 보장하는 것이 아님을 깨달았던 그는 더욱 큰 그림을 그리며 의뢰인과 함께 앞으로 나아가는 방향을 선택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마음이 단 한 사람에게라도 전해지길 바라는 진심은 그의 에세이집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조우성 변호사는 이제 의뢰인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와 걸어갈 준비를 하고 있다. 일반인들을 위해 법의 문턱을 낮추는 것이 그의 목표인데, 바로 법률 관련 플랫폼을 만드는 것이다.
“온라인으로 쉽게 법률 지식을 접하고 소송에 대한 도움을 얻을 수 있는 ‘머스트노우’ 플랫폼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단지 법을 모른다는 이유로 억울해지는 이가 없도록 힘을 보태는 것이 제 인생 후반기의 목표입니다.”
소송 사건을 담당하는 송무 변호사로서 25년을 살아온 그. 의사에 비유하면 ‘임상의’로 지냈던 그간의 시간을 통해 질병 데이터를 만들어 일반인들이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예방의학’이라 할 때, 조우성 변호사는 ‘예방법학’을 만들어 내는 셈이다.
자신의 경험을 차곡차곡 쌓아 다른 이를 위해 소중하게 전하는 조우성 변호사. 그의 따뜻함이 우리 모두에게 선물이 되어 찾아올 날은 머지않아 보인다.

Copyright 2015. IBK(INDUSTRIAL BANK OF KOREA) All rights reserved.